반응형 트럼프관세4 [25.04.11] 반도체 관세 부과? 시장 흐름이 이렇게 바뀝니다!! ■ 반도체 관세 부과-. 반도체에 관세가 부과됐던 적이 거의 없음 -. 4월 3일에 관세 정책 시행→ 반도체, 자동차에 대해서는 예외를 인정 해줬으나 트럼프가 반도체에도 부과할 예정이라고 발표 -. 반도체 자체를 놓고 보면 그렇게 영향이 크지 않을 수도 -. 제조 관점에서 보면 반도체를 필요로 하는 제조국가에는 영향이 갈 수도: 중국 100%↑, 한국 25%, 대만 32%, 베트남 46%, 인도 27%, 일본 24% -. 반도체가 관세를 맞고 미국 소비시장에 들어감 → 소비가격 증가 (가격이 30~40% 이상 증가) -. 미국 소비 : 스마트폰 16%, PC 30%, TV 29% 수입 → 가격이 높아져서 소비가 좋아질 수가 없음 -. 세계 소비의 1/3 미국 시장이 차지하는데 관세 부과시 반도체 수요를 .. 2025. 4. 14. 트럼프 관세 면제: 스마트폰·컴퓨터 제외로 주목받는 유망 주식 종목 1. 트럼프 관세 면제 조치의 배경과 영향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스마트폰, 노트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 24개 품목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글로벌 전자제품 시장의 안정화와 관련 기업들의 비용 절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수혜가 예상되는 산업군 관세 면제로 인해 다음과 같은 산업군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전자 및 반도체 산업: 수입 부품에 대한 관세 부담이 줄어들어 제조 비용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소비재 및 유통 산업: 수입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매출 증가가 기대됩니다.3. 주목할 만한 유망 종목 관세 면제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종목은 다음.. 2025. 4. 13. [25.04.09] 제폭락하는 자산 시장 돌려세울 세 가지 포인트!! ■ 트럼프 관세 쇼크-. 관세 쇼크가 있을거는 알았으나, 크기와 폭이 생각보다 컸다-. 상호관세 뿐만 아니라 보편 관세는 예상 못함 -. 시장에 공포에 질린 이유→ 지금까지는 관리하에서 통제하고 있다고 생각했었음 -. 트럼프가 시장을 망가뜨리는 이유 : 소프트랜딩을 유도하여 연준에게 금리인하를 요구하고자.. -. 미국 부채 만기가 돌아오는게 7조 달러→ 롤오버 해야하는데 금리가 높으면 이자가 많으니 시장을 하락시켜서 금리 인하시키고자 함 -. But, 통제가 되고 있는것인지 의문→ 소프트 랜딩이 아닌 하드랜딩에 대한 걱정이 커짐 -. 재무장관인 스콧 베센트, DOGE 수장 일론 머스크→ 시장을 알고 있는 기업 출신이기에 어느정도 관리가 될거라고 생각했으나, 하나도 안 먹힘 -. 최근 X에서 날을 세우고.. 2025. 4. 13. [25.03.26] 트럼프가 찍어준 새로운 주도 섹터, 반등 때 여기를 주목해야 합니다!! ■ 트럼프의 기분 좋은 변덕-. M7 빅테크가 평균 3% 정도 상승, 테슬라는 무려 12% 상승 -. ★4월 2일★ 백악관에서 관세에 대한 발표를 할 예정 -. 동맹국에 대해서는 10% 평균 과세 중국은 60~70% 과세예정→ But, 시장 상황이 너무 안좋다보니 신경을 쓰지 않을 수는 없을 듯? -. 자동차, 반도체, 제약 등 산업별 관세는 아마 이번엔 불가→ 상호 관세 정도 가능 -. "멕시코&캐나다" 관세의 명분은 펜타닐→ 호응을 해주면 완화될 가능성 -. 충격과 공포를 주고 완화해주면서 협상 진행 (1기때와 유사?) -. 가장 수혜를 볼 수 있는 것이 현대차 그룹 -. 미국 완성차 업체들이 지금 상황이 녹록치 않음 -. "GM&Ford"→ 멕시코를 통해서 미국시장으로 들어가는 완성차와 부품이 적.. 2025. 3. 29. 이전 1 다음 반응형